LaTeX 글자수 세기: texcount
| Happy LaTeXing
논문을 투고하다보면 단어수를 제한하는 경우가 있는데,
LaTeX으로 쓴 경우 수많은 LaTeX 구문때문에 정확한 단어수를 세기란 매우 까다롭다.
detex 등을 이용해서 평범한 텍스트로 만든 후, wc를 이용하거나,
tex2rtf로 RTF로 바꾼후 MS Word로 읽어서 카운트를 할수도 있지만...
TeXcount라는 멋진 펄스크립트를 이용해서 간편하게 유효 단어수를 셀수 있다.
http://folk.uio.no/einarro/Comp/texwordcount.html
texcount -h 하면 간단한 설명이 나오는데,
본문중에 %TC:break 를 붙여주고 texcount filename -sub 를 실행시켜주면
구간 별로 끊어서 카운팅이 가능하다.
참고로 아래 링크에서 웹인터페이스로도 쓸수 있다.
http://folk.uio.no/einarro/Services/texcount.html
# by 손상길 | 2010.4.26(월) 저녁 8시 | 조회수:49549 이 글의 링크 및 트랙백: http://www.zannavi.com/blog/3/34
![[고치기]](/madang/img/edit.gif) ![[파일첨부]](/madang/img/attach.gif) ![[프린트출력]](/madang/img/print.gif) ![[댓글쓰기]](/madang/img/re.gif) |
 |
 |
한글 코드 변환
| Linux power
EUC-KR과 UTF-8을 왔다갔다할때
쉘과 PHP에서 iconv를 사용하면 된다.
예를들어 UTF-8를 EUC-KR로 바꿀려면,
shell: iconv -f UTF-8 -t EUC-KR inputfile
php: $decode = iconv( "UTF-8", "EUC-KR", $encode );
참고: http://kldp.org/node/1925
도대체 내 홈피는 언제 UTF-8로 갈아탄다냐...
# by 손상길 | 2010.4.4(일) 낮 3시 | 조회수:38270 이 글의 링크 및 트랙백: http://www.zannavi.com/blog/3/18
![[고치기]](/madang/img/edit.gif) ![[파일첨부]](/madang/img/attach.gif) ![[프린트출력]](/madang/img/print.gif) ![[댓글쓰기]](/madang/img/re.gif) |
 |
 |
lineno 패키지를 amsmath와 함께 쓰기
| Happy LaTeXing
lineno 패키지는 본문 왼쪽에 줄번호를 붙여줘서 논문초안 내용을 여러명이서 둘러볼때 유용하게 쓸수 있다.
(거기 #130 내용이 좀 이상해... 이런식으로 메일에 쓰기 편하다.)
\usepackage{lineno}
...
\linenumbers
\linenumbers 이후로 모든 내용에 줄번호를 붙여준다.
근데, 이게 amsmath랑 궁합이 안맞는지라
수식이 들어간 몇몇 부분에서 크게 에러를 내고 마는데, 아래의 내용을 preamble에 써줌으로써 고칠수 있다.
\newcommand*\patchAmsMathEnvironmentForLineno[1]{%
\expandafter\let\csname old#1\expandafter\endcsname\csname #1\endcsname
\expandafter\let\csname oldend#1\expandafter\endcsname\csname end#1\endcsname
\renewenvironment{#1}%
{\linenomath\csname old#1\endcsname}%
{\csname oldend#1\endcsname\endlinenomath}}%
\newcommand*\patchBothAmsMathEnvironmentsForLineno[1]{%
\patchAmsMathEnvironmentForLineno{#1}%
\patchAmsMathEnvironmentForLineno{#1*}}%
\AtBeginDocument{%
\patchBothAmsMathEnvironmentsForLineno{equation}%
\patchBothAmsMathEnvironmentsForLineno{align}%
\patchBothAmsMathEnvironmentsForLineno{flalign}%
\patchBothAmsMathEnvironmentsForLineno{alignat}%
\patchBothAmsMathEnvironmentsForLineno{gather}%
\patchBothAmsMathEnvironmentsForLineno{multline}%
}
참고: http://phaseportrait.blogspot.com/2007/08/lineno-and-amsmath-compatibility.html
# by 손상길 | 2010.3.21(일) 오후 5시 | 조회수:47709 이 글의 링크 및 트랙백: http://www.zannavi.com/blog/3/8
![[고치기]](/madang/img/edit.gif) ![[파일첨부]](/madang/img/attach.gif) ![[프린트출력]](/madang/img/print.gif) ![[댓글쓰기]](/madang/img/re.gif) |
 |
 |
set format
| gnuplot forever
x축이나 y축에 숫자를 붙일때 set format 명령으로 보기좋게 꾸며낼수 있다.
가령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시하고 싶은 경우,
set format y "%.1f"
만약 set logscale y를 써서 지수값을 쓰고 싶은 경우는 어떨까.
set term x11 enhanced
...
set format y "10^{%T}"
혹은
set format y "%.1t{/Symbol \260}10^{%T}"
참고: gnuplot 프롬프트 상에서 help format, specifiers
# by 손상길 | 2010.3.21(일) 낮 12시 | 조회수:44752 이 글의 링크 및 트랙백: http://www.zannavi.com/blog/3/17
![[고치기]](/madang/img/edit.gif) ![[파일첨부]](/madang/img/attach.gif) ![[프린트출력]](/madang/img/print.gif) ![[댓글쓰기]](/madang/img/re.gif) |
 |
 |
set term postscript
| gnuplot forever
gnuplot에서 PostScript 기본 세팅은...
Helvetica 14pt, dashed, 10in x 7in for PS or 5in x 3.5in for EPS
내가 즐겨쓰는 세팅은 보통 이렇게 시작한다.
set term post eps color solid enhanced size 3.25, 3 font 11
solid가 아닌 dashed가 선택되었을때 linetype에 따라 나오는 선모양은 아래와 같다.
linetype 1: solid
linetype 2: dashed
linetype 4: dotted
pointtype에 따라 나오는 점모양은 다음과 같다.
pointtype 4: open square
pointtype 5: filled square
pointtype 6: open circle
pointtype 7: filled circle
# by 손상길 | 2010.3.21(일) 낮 12시 | 조회수:41573 이 글의 링크 및 트랙백: http://www.zannavi.com/blog/3/16
![[고치기]](/madang/img/edit.gif) ![[파일첨부]](/madang/img/attach.gif) ![[프린트출력]](/madang/img/print.gif) ![[댓글쓰기]](/madang/img/re.gif) |
 |
 |
첨자와 특수문자를 써보자
| gnuplot forever
gnuplot에 라벨을 붙일때, 첨자나 특수문자를 써보자.
참고: gnuplot 프롬프트 상에서 help enhanced
set term x11 enhanced
or
set term pdf enhanced
set term 뒤에 enhanced를 붙이면 아래처럼 라벨이나 제목에 확장텍스트를 쓸수 있다.
참고: http://www.gnuplot.info/docs/gnuplot.html#x1-2000011
참고: http://gnuplot.sourceforge.net/demo/enhancedtext.html
set title 'H@_2^+ 1{/Symbol s}_u, 2{/Symbol \264}10^{14} W/cm^2, {/Symbol Q}=0{/Symbol \260}'
아래첨자는 _, 위첨자는 ^, 둘다를 같이 쓸때는 @_{}^{}를 활용한다.
그리스문자는 {/Symbol } 사이에 써주면 되고 특수문자는 \번호로 써준다.
특수문자에 해당하는 번호는 어딘가에 받아져있을 ps_guide.ps를 살펴보면 되는데 (내경우엔 /sw/share/doc/gnuplot/psdoc/)
내가 주로 쓰는 몇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260
° --> \264
(헉, 이 두개가 전부였던가...)
label이나 title에는 double quote "보단 single quote '를 쓰는게 좋은데 (나조차도 잘 안지켜지는 것 중 하나)
가령 perpendicular symbol을 쓰려면 반드시 아래와 같이 써야한다.
"{/Symbol \\^}"
"{/Symbol \\136}"
'{/Symbol \136}'
'{/Symbol \^}'
"를 사용할때 복잡한 확장문자열 체계때문에 그런건데, 복잡하게 "쓰고 \\를 두번씩 쓰는것 보다 그냥 간단하게 '를 쓰는게 여러모로 편하다.
근데 label은 레이블이 아니라 왜 라벨이 되었을까...
# by 손상길 | 2010.3.21(일) 낮 12시 | 조회수:46149 이 글의 링크 및 트랙백: http://www.zannavi.com/blog/3/15
![[고치기]](/madang/img/edit.gif) ![[파일첨부]](/madang/img/attach.gif) ![[프린트출력]](/madang/img/print.gif) ![[댓글쓰기]](/madang/img/re.gif) |
 |
 |
글자체, 글자크기 바꾸기
| Happy LaTeXing
LaTeX에서 글자모양을 바꾸려면 다음과 같다.
글자체 바꾸기
roman (serif): \textrm{}
sans serif: \textsf{}
typewriter: \texttt{}
bold: \textbf{}
italic: \textit{}
slanted: \textsl{}
small caps: \textsc{}
글자크기 바꾸기
\tiny
\scriptsize
\footnotesize
\small
\normalsize
\large
\Large
\LARGE
\huge
\Huge
고칠 부분을 마우스로 긁어 선택하고 Command-B를 눌러 볼드체로 바꾸는게 편할까, 고칠 부분을 {}로 둘러싸고 \textbf라고 써주는게 편할까.
당장 쓸땐 전자가 편하지만, 뒤에 고칠땐 후자가 편하다.
# by 손상길 | 2010.3.21(일) 새벽 0시 | 조회수:51896 이 글의 링크 및 트랙백: http://www.zannavi.com/blog/3/14
![[고치기]](/madang/img/edit.gif) ![[파일첨부]](/madang/img/attach.gif) ![[프린트출력]](/madang/img/print.gif) ![[댓글쓰기]](/madang/img/re.gif) |
 |
 |
폰트 바꾸기
| Happy LaTeXing
LaTeX의 기본 폰트는 Computer Modern인데, 매우 훌륭하고 완전한 글자본을 가지고있다.
굳이 폰트를 바꾸고자 한다면 다음의 패키지를 쓰면 된다.
Times: \usepackage{times}
Palatino: \usepackage{palatino}
New Century School Book: \usepackage{newcent}
Bookman: \usepackage{bookman}
Helvetica: \usepackage{helvet}
Avant Garde: \usepackage{avant}
Helvetica나 Avant Garde 같은 Sans Serif를 기본글꼴로 쓸려면 다음을 덧붙인다.
\renewcommand*\familydefault{\sfdefault}
이걸론 뭔가가 부족하다. 수식은 여전히 Computer Modern으로 쓰여지기 때문이다.
수식까지 지원하는 폰트로는 Times와 Palatino가 있고 아래와 같이 써야한다.
Times: \usepackage{mathptmx}
Palatino: \usepackage{mathpazo}
본문과 수식에 쓰이는 폰트가 하나로 되어서 훨씬 보기좋다.
굳이 폰트를 바꾸고자 마음을 먹었는데, 지루한 Times로 돌아갈 필요가 있을까. 세련된 Palatino를 애용해주자 :-)
아래의 링크에 LaTeX에서 쓸수 있는 수많은 폰트의 예제와 사용법이 총망라되어있다.
원하는 폰트이름으로 가서 한번 눌러보시라.
http://www.tug.dk/FontCatalogue/
# by 손상길 | 2010.3.21(일) 새벽 0시 | 조회수:52086 이 글의 링크 및 트랙백: http://www.zannavi.com/blog/3/13
![[고치기]](/madang/img/edit.gif) ![[파일첨부]](/madang/img/attach.gif) ![[프린트출력]](/madang/img/print.gif) ![[댓글쓰기]](/madang/img/re.gif) |
 |
 |
표에서 footnote 쓰기
| Happy LaTeXing
revtex의 경우, table내에서 \footnote를 쓰면 알아서 표 아래편에 설명이 붙어서 편하게 쓸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이게 생각보단 쉽지 않은데, 아래와 같이 해볼수 있다.
표 끝부분에 조그만 선을 그어주고 a, b, c와 같이 footnote를 붙여준다.
\begin{table}[htp]
\centering
\caption{...}
\label{...}
\begin{minipage}{\textwidth}
\centering
\begin{tabular}{ccc...}
....
% use \footnote{}
....
\end{tabular}
\end{minipage}
\end{table}
참고: http://www.hep.man.ac.uk/u/jenny/jcwdocs/latex/latex.html
만약 표 끝부분에 나오는 조그만 선이 보기싫다면 (대부분 표에서도 \hline을 그어주므로)
다음을 \end{minipage} 앞에 덧붙이면 된다.
\vspace{-7pt}\renewcommand{\footnoterule}{}
참고: http://www.latex-community.org/forum/viewtopic.php?f=5&t=929&start=0&st=0&sk=t&sd=a
# by 손상길 | 2010.3.20(토) 밤 11시 | 조회수:51231 이 글의 링크 및 트랙백: http://www.zannavi.com/blog/3/12
![[고치기]](/madang/img/edit.gif) ![[파일첨부]](/madang/img/attach.gif) ![[프린트출력]](/madang/img/print.gif) ![[댓글쓰기]](/madang/img/re.gif) |
 |
 |
bra-ket을 편하게 씁시다.
| Happy LaTeXing
내가 LaTeX으로 글쓸때는, 아래 내용을 항상 preamble에 포함시켜놓고 쓴다.
\newcommand{\ket}[1]{\ensuremath{\vert#1\rangle}}
\newcommand{\bra}[1]{\ensuremath{\langle#1\vert}}
\newcommand{\braket}[2]{\ensuremath{\langle#1\vert#2\rangle}}
\newcommand{\braketoperator}[3]{\ensuremath{\langle#1\vert#2\vert#3\rangle}}
\newcommand{\doublebraketoperator}[3]{\left\langle \!\! \left\langle #1 \left\vert #2 \right\vert #3 \right\rangle \!\! \right\rangle}
\newcommand{\pd}[2]{\ensuremath{\frac{\partial#1}{\partial#2}}}
\newcommand{\degree}{\ensuremath{^\circ}}
# by 손상길 | 2010.3.20(토) 밤 11시 | 조회수:44920 이 글의 링크 및 트랙백: http://www.zannavi.com/blog/3/10
![[고치기]](/madang/img/edit.gif) ![[파일첨부]](/madang/img/attach.gif) ![[프린트출력]](/madang/img/print.gif) ![[댓글쓰기]](/madang/img/re.gif) |
 |
 |